본문 바로가기
서양 음악사

팔레스트리나의 음악과 16세기의 음악 양식

by 파란색연필 2023. 1. 24.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칼뱅 교회와 영국 교회의 음악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반종교개혁과 트렌트 공의회를 거쳐 변모하는 교회 음악과 16세기에 변화하는 음악 양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종교개혁과 트렌트 공의회 속의 교회 음악

개신교의 등장으로 가톨릭교회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교황 바울 3세(재위 1534- 49)와 이후의 교황들은 가톨릭교회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교회의 성직자 계급 제도를 개선했습니다. 이러한 반종교개혁 혹은 가톨릭 종교개혁이라 불리는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가톨릭교회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종교개혁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이탈리아의 트렌트에서 종교 회의를 주최했습니다. 공의회에서는 루터와 칼뱅이 공격한 교리와 의식을 공인했고 교회 내에서 악습을 없앨 법령도 통과시켰습니다. 공의회는 교회음악에 관해서 의전을 통일하고 트로푸스와 대부분의 부속가를 금지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또한 공의회에서는 세속 음악에 기반한 미사가 의식을 세속화하고 복잡한 다성음악이 가사를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그래서 복잡한 다성음악을 줄이고 성가대원들의 불신앙적인 태도도 줄이는 것을 권고하도록 명시했습니다.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

반종교 개혁 시대의 대표적인 이탈리아의 교회 음악 작곡가인 팔레스트리나는 선율, 리듬, 짜임새와 음향이 모두 가사와 정확히 상응하는 교회 음악을 만들었습니다. 팔레스트리나는 104곡의 미사를 작곡했는데 모방미사와 변용 미사의 형식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쉽게 노래할 수 있도록 긴 호흡과 리듬의 변화가 사용된 선율을 사용했고 도약과 반대 방향의 순차 진행과 같이 대위법적인 원칙이 잘 드러나는 선율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비화성음을 사용할 때도 매우 규칙적인 해결로 끝내고 경건하고 단순한 협화를 사용했습니다. 그의 음악에서는 음악이 정점에 달할 때 모든 성부가 노래하면서 장3화음의 종지를 만드는 등 음악적인 변화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곡에 가사를 붙일 때 가톨릭교회가 원하는 의도에 맞도록 가사의 악센트를 사용하였고 가사가 잘 들리도록 노력했습니다. 또한 그는 다양성을 위해서 새로운 악구마다 성부를 다르게 구성했습니다. 16세기의 다성음악의 리듬은 각 성부의 리듬과 강박의 화음들이 집합적으로 결합합니다. 이것은 집합적 리듬(collective rhythm) 이라고 하는데 한 성부 안에 다양한 음길이의 변화가 있지만 같은 리듬이 연속적으로 두 마디에 진행되지 않게 하려는 것입니다. 또한 그는 선율을 유지하고 악구의 연결을 위해 당김음을 사용했습니다. 팔레스트리나의 음악은 우아함, 명료함, 다양성과 가사에 대한 접촉 등 르네상스
시대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 음악적 특징들을 포함합니다. 그의 양식은 후세대의 표본이 되었는데 이러한 특징들은 17세기의 stile antico(구양식)의 표본이 되었습니다. 또한 요한 푹스(Johann Joseph Fux)의 파르나수스로 가는 계단(Gradus ad Parnassum, 1725 )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또한 최근의 대위법 책들도 작곡가들에게 이 양식을 가르칩니다. 그가 반종교 개혁 시대를 거쳐 교회의 다성음악을 보존했기 때문에 그의 명성은 16세기의 모든 작곡가들을 넘어섰습니다. 이후 19세기 후반부터 그의 음악과 동시대 작곡가들의 음악이 연구되고 연주된 후에야 팔레스트리나는 음악사에서 인정받기 시작했습니다.

16세기 국가별 음악 양식의 발전

16세기의 작곡가들은 세속 음악의 다양한 형식을 발전시켰습니다. 인쇄술의 발전으로 아마추어들의 음악이 더 많이 만들어지고 유포되었습니다. 이런 세속 음악은 대부분 각국의 언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국가별 양식이 더욱 발달할 수 있었습니다. 16세기에 발전한 국가별 양식에는 스페인의 비얀시코(Villancico), 이탈리아의 프로톨라(frottola)와 프랑스의 샹송(chanson)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