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프랑스의 플랑드르악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플랑드르악파 중 가장 유명한 작곡가인 조스캥 데 프레와 그의 작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16세기 종교개혁 시대가 어떻게 교회 음악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4)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약 1450-1521)
조스캥 데 프레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유명한 궁정과 교회에서 높은 명성을 얻으며 봉직한 당대 최고의 작곡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필사본과 인쇄본으로 다수 재출판되었습니다. 1538년 Martin Luther가 “Joquin은 음들의 지배자이다. 다른 작곡가들은 음들이 뜻하는 대로 하지만 그는 음들을 그가 뜻하는 대로 움직인다.”라고 말했습니다. 16세기 후반까지 그의 작품은 많은 작곡가들에게 모방되었습니다. 그가 죽은 뒤 1세기 동안에 그의 작품들은 다시 출판되고 연주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여전히 너무나 인기가 많아서 다른 작곡가들이 다른 작곡가의 작품들을 그의 것이라고 속여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모테트
조스캥의 모테트는 가사를 상당히 변형시키며 자유롭게 작곡되었습니다. 그는 모테트에 가사의 내용을 음악적으로 반영하고 가사에 적합한 음악을 붙이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조스캥의 모테트에는 특징이 있는데 형식과 조의 구성이 명확한 것과 노래같은 선율입니다. 또한 모방과 호모포니를 사용하는 것과 이미 살펴본 악구를 처리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가사를 강조하기 위해 음악적인 가사 묘사를 사용했고 감정이 전달되는 가사를 음악적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음악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한 작곡가 중에 가장 탁월하게 표현을 사용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사
조스캥의 미사는 그의 작품 중에서 가장 다양하고 그의 장인성을 알 수 있습니다. 그의 미사 '무장한 사람(L'homme armé )'은 정량 캐논이 적용된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인 Missa Hercules dux Ferrariae (페라라의 헤라큘레스 공 미사)는 조스캥이 페라라 공작의 궁정에서 활동하던 때에 작곡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정선율에 곡의 제목(Hercules dux Ferrariae)의 모음들을 당시의 헥사코드 계명으로 바꾸어서 만든 soggetto cavato dalla vocali (모음으로부터 유래한 주제)를 사용하여 유명해진 작품입니다. 이 외에도 그의 미사 작품 중에는 모방미사인 Missa Malheur me bat와 변용미사(paraphrase mass)인 Missa Pange lingua 가 전해집니다. 모방미사와 변용미사의 차이점은 양식의 차이라기보다 차용하는 음악적 소재에서 차이가 납니다. 모방미사는 모델로 삼은 곡의 악장의 사작과 끝을 새로이 변형한 것입니다. 변성미사의 소리는 모방미사의 소리와 비슷하게 들리지만 변용미사는 다성음악이 아닌 단성성가를 테노르 성부에 변형시켜 사용했다는 점에서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샹송
조스캥의 샹송은 정형시 형식에서 탈피한 4-5행의 단순한 시와 절을 가사로 사용한 양식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샹송은 3 성부가 아닌 4-5 성부로 작곡되었습니다. 죠스캥의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아닐 수도 있는 작품 '비통한 슬픔'에서는 다성적인 부분과 화성적인 부분이 교대로 사용되었고 가사의 각 구절은 특별하게 처리됩니다.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 음악
서양사에서 기독교는 폴란드부터 스페인, 이탈리아와 스코틀랜드에 이르는 유럽인들의 유대감을 조성하는 근간이었습니다. 그러나 16세기가 시작되고 연이어 벌어진 종교개혁은 이러한 연대를 깨뜨리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으며 중서부 유럽은 종교전쟁 시대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또한 교회 음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종교 개혁의 지도자들은 라틴어가 아닌 그 지역의 언어로 예배하고 찬송을 부르는 것을 허용하여 신도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도왔습니다. 종교개혁은 북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발생한 루터파와, 스위스와 남부 유럽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영국에 전파된 깔뱅파가 있습니다. 그리고 영국의 헨리 8세가 영국 국교회를 조직하였습니다. 이 새로운 세 개의 종파는 음악을 다루는 태도도 매우 달랐고 그러한 영향에 따라서 새로운 교회 음악이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서양 음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크 시대의 음악 양식 (0) | 2023.01.26 |
---|---|
바로크 시대의 음악 (0) | 2023.01.25 |
팔레스트리나의 음악과 16세기의 음악 양식 (0) | 2023.01.24 |
칼뱅 교회의 음악과 영국 교회의 음악 (0) | 2023.01.23 |
16세기 루터 교회의 음악 (0) | 2023.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