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 음악사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부터 로마의 미사 전례까지

by 파란색연필 2023. 1. 27.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서양 음악사의 시작인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과 중세 로마의 그레고리안 성가에 대해서 알아보고 로마의 미사 전례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에토스론

에토스론 이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내려진 음악의 정의입니다. 여기서 에토스란 습관적으로 반복된 행동이 인간의 성격에 영향을 끼쳐서 드러난 개인의 도덕과 행동 방식을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음악이 도덕과 성품, 행동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견해는 음높이와 리듬 체계가 수학적 법칙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피타고라스의 음악관에 의해 정립되었습니다. 플라톤은 가장 완벽한 음악가란 음악과 체육을 잘 조화시켜서 생활에 적용하는 사람이라고 칭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청소년에게 정신적인 교육과 체육을 위해 음악을 교육하여 정서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특정 음악만이 적합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플라톤은 도리안 선법과 프리지안 선법을 추천했고 다른 것은 배제했습니다. 그는 복잡한 음계가 사용되거나 장르, 리듬, 악기가 혼합된 음악을 비판했습니다. 플라톤은 '공화국'과 '법률' 모두에서 예술과 교육상의 무질서가 예법의 방종과 사회의 무질서로 이어지므로 음악 관습은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타인의 즐거움을 위해서 연주하는 것은 천하고 저속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처럼 에토스론에서는 탄식조의 음악, 연약한 선법, 지나치게 현악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 음악가의 재주가 부각되는 것 등을 음악에 해로운 요소로 간주했습니다.

중세 로마의 그레고리오 성가

초기 교회의 성가는 그레고리우스 1세 교황에 의해 형식이 통일되었습니다. 많은 서양인은 그레고리우스 1세 교황이 비둘기 모습의 성령이 부르는 노래를 받아 적어 그레고리오 성가가 되었고 교황이 작곡한 음악이라고 믿었습니다. 또한 그레고리우스 1세 교황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중세의 8개의 교회 선법에 기초하였습니다. 초기의 그레고리오 성가는 작자가 미상 하며 남자 수도자들의 구전을 통해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징은 교회 음악이며 그레고리오 성가는 기도문을 경건하게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무반주의 단성 음악(Monophony)으로 시작되어 9세기부터 다성 음악(Polyphony)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한 옥타브 내의 음역대로 이루어져 있고 박자와 마디가 불분명합니다. 또한 라틴어 가사를 사용하였고 미사 중에는 수도사나 남자들만 불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네우마 기보법이라는 독특한 선법으로 기록되었습니다.

로마의 미사 전례와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예배를 위한 것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로마 교회의 예배와 성가의 형태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부터 이에 대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Mass(미사)
Mass(미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종교의식이며 미사를 마칠 때
사제가 "미사가 끝났으니 가서 복음을 전하시오."라는 말을 하는데 이것을 뜻하는 라틴어인 "Ite, missa est."에서 파생된 말로써 본래 '미사(Missa)는 ‘보내다’, ‘파견하다’는 뜻을 가진 라틴어 ‘Missa’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또한 미사는 예수가 제자들과 함께한 최후의 만찬을 재현하는 의식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미사는 교회력에 맞춰 매주 그 내용이 변하는 고유문(Proper)과 교회력에 관계없이 그 내용이 변하지 않는 통상문(Ordinary)으로 구성됩니다. 통상문 중 Kyrie, Gloria, Credo, Sanctus, Agnus Dei, Ite, missa est는 노래로 불립니다. 중세 초기의 작곡가들은 이러한 통상문들을 개별적으로 작곡하였는데 14세기부터 작곡가들은 Ite, missa est를 제외한 통상문들을 하나의 미사곡으로 작곡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에서 로마의 미사 전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로마의 미사 전례의 종류와 다성음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