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9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 지난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음악 양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성악 음악인 오페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오페라 오페라의 어원은 라틴어의 작품이라는 뜻의 opus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의 시작이 1600년 경이되는 것은 이 시기가 오페라가 시작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오페라는 이 시기의 전후에 나타나 17~18세기의 가장 중요한 장르로 부각되었습니다. 당시의 인본주의자들은 고대 그리스의 연극에서 대사에 음악적인 운율을 붙여 전달하는 것을 이용해서 이와 비슷한 공연 양식을 만들었습니다. 오페라는 고대 그리스 이후로 많은 음악과 연극이 결합한 형식들을 통해서 탄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초기의 오페라는 고대 그리스의 신화나 비극을 다루기도 합니.. 2023. 1. 28.
중세 로마부터 노트르담 대성당까지 이르는 오르가눔의 변천사 지난 시간에 로마의 미사 전례와 성가부터 다성음악인 오르가눔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중세 시대의 음악이 발전함에 따라 오르가눔의 종류도 늘어났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다성음악 속 늘어난 여러 가지의 오르가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세 다성음악 속 오르가눔의 종류 2) 변형된 병행 오르가눔(사진행 오르가눔) 초기의 병행 오르가눔 성부는 주성부 아래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그런데 주성부의 4도 아래로 병행하는 오르가눔 중에 증 4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르가눔이 동음에서 시작해 완전 4도나 완전 5도로 확장되었다가 다시 동음으로 끝나는 이러한 사진행과 병 진행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의 오르가눔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3) 자유 오르가눔(Free Organum) 오르가눔 성부의 진행 방.. 2023. 1. 27.
로마의 미사 전례부터 다성음악의 시작까지 지난 시간에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부터 로마의 미사 전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다음으로 중세 초기의 음악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친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 전례와 성가 형식들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로마의 미사 전례와 성가 2) 성무일도(성무 일과) 성무일도는 천주교의 성직자와 신도 등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드리는 기도 혹은 예배를 말합니다. 이는 시간 전례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전례란 민중에 대한 봉사라는 뜻인 희랍어 λειτουργια(Leitourgia)에서 유래한 말로 교회가 하느님께 드리는 공적인 의식을 뜻합니다. 수도사들은 중세 초기부터 하느님께 하루에 여덟 번씩 전례를 드렸고 보통 한 주에 150개의 시편을 최소 한 번 이상 불렀습니다. 전례적으로 가장 중요한 성무일도는 새벽 기도,.. 2023. 1. 27.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부터 로마의 미사 전례까지 이번 시간에는 서양 음악사의 시작인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과 중세 로마의 그레고리안 성가에 대해서 알아보고 로마의 미사 전례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에토스론 에토스론 이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내려진 음악의 정의입니다. 여기서 에토스란 습관적으로 반복된 행동이 인간의 성격에 영향을 끼쳐서 드러난 개인의 도덕과 행동 방식을 말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음악이 도덕과 성품, 행동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견해는 음높이와 리듬 체계가 수학적 법칙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피타고라스의 음악관에 의해 정립되었습니다. 플라톤은 가장 완벽한 음악가란 음악과 체육을 잘 조화시켜서 생활에 적용하는 사람이라고 칭했습니다... 2023. 1. 27.
바로크 시대의 음악 양식 지난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배경과 감정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음악 양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2작법(Seconda Prattica) 바로크 시대에 나타난 음악적 표현 중 하나는 가사의 시적 의미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이론을 피하는 것입니다. Claudio Monteverdi(1567-1643)의 마드리갈 'Cruda Amarilli(잔인한 아마릴리)'에서는 대위법에서 위배되는 불협화음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 곡에서 강박에 나오는 경과음이나 해결하지 않는 불협화음을 그 예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는 가사의 'Cruda(잔인한)'이나 'ahi lasso(아)'와 같은 감탄사를 강조하기 위해 불협화음을 사용했습니다. 몬테베르디는 이렇게 가사의 뜻을 좀.. 2023. 1. 26.
바로크 시대의 음악 지난 시간에는 팔레스트리나의 음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바로크 시대(1600-1750)의 배경 17세기의 이탈리아의 작곡가들은 지속 저음, 모노디, 레치타티보와 같은 새로운 음악 장치들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예상되지 않는 불협화음과 독창이나 독주를 강조하는 새로운 연주 방식도 만들어냈습니다. 17세기 유럽에서는 당시 정치, 경제, 과학 분야의 변화가 음악 분야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전쟁을 통해 지역마다 정치적인 구조가 달라졌고 또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별로 음악가들에 대한 지원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 당시에 유럽에서는 과학의 새로운 발견을 통한 연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프랑스의 앙리 4세는 낭트 칙령(1598)을 내렸는데 이는 가톨릭을 국가.. 2023. 1. 25.
728x90